압류방지통장 만들기, 어디서 어떻게 신청할까?
1. 압류방지통장이란?
압류방지통장은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이 국가로부터 받는 지원금이나 급여 등을 압류당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통장입니다.
대표적인 예는 기초생활수급비,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긴급복지지원금, 아동수당 등인데요, 이 돈이 입금되는 계좌는 법적으로 압류가 금지돼요.
하지만 일반 계좌에 입금되면 보호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압류방지 전용통장'으로 따로 개설해야 합니다.
2. 누가 만들 수 있나?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압류방지통장을 만들 수 있어요.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대상자)
- 장애인연금 수급자
- 기초연금 수급자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 긴급복지지원 대상자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정부 지원 받는 경우)
- 아동수당 또는 한부모가족지원금 수급자
※ 단, 수급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가 있어야 하고, 1인 1계좌만 등록 가능합니다.
3. 어디서 어떻게 신청하나?
압류방지통장은 거주지 인근 은행 창구에서만 신청 가능하며, 모바일이나 ATM에서는 개설 불가예요.
신분증과 수급 확인서류(수급자 증명서 등)를 지참해서 은행을 방문하면, 직원이 압류방지용으로 별도 계좌를 개설해줍니다.
은행별로 운영 방식은 조금씩 다르지만, 국민·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 등 대부분의 시중은행에서 개설 가능하고,
개설된 통장은 압류 금지 대상임을 시스템상 자동 등록하게 됩니다.
4. 유의사항 & 추가 팁
기존 일반 계좌로 수급 중인 경우에도, 압류방지 전용 통장으로 전환해야 보호받을 수 있어요.
한 번에 여러 통장을 만들 수 없고, 타인 명의 통장도 불가합니다.
급여 수급자라면 '지정계좌' 제도(최저생계비만 보호)도 함께 검토하세요.
은행 창구에서 “압류방지통장 개설하러 왔다”고 말하면 직원이 필요한 서류를 안내해줘요.